래빗 장점

1. 정렬 기능과 스냅 기능이 강력하다.

2. 프로그램 라이센스 가격이 상대적으로 저렴해서 1년에 350만 원 이내로 해결

 

래빗 단점

1.프로그램이 무겁고 큰 규모의 프로젝트에서는 렉이 심해서 조작이 어렵다.

2. 프로그램 년도별 버전명만 바뀌고 기능적인 업데이트를 안 해줌

3. 패밀리로 해결하는 워크 프로세스가 매우 비효율적(야근 유발로 인생을 낭비시키는 프로그램이라 생각함)으로 스케치업보다 못함

 

아키캐드 장점

1. 가볍고(매우 큰 장점) 조작이 직관적이다

2. 그래픽이 예쁘다

3. 3D 모델링과 도면화가 1:1로 대응되서 자동화된 도면 제작 (설계사무실에서 모델링 외주 안 맡기고 쓰기 좋음)

4. 객체탭의 발전 가능성이 무궁무진하고 (반자동 설계 가능) 한국 본사에서 주기적으로 VIP 서비스로 객체를 업데이트해줌

5. 꾸준한 유럽 본사 기반의 업데이트- 에너지평가, 시뮬레이션, 간섭체크 등 수요에 따라 기능을 하나씩 얹어서 신버전 개발

6. 협업프로그램과 연계에 관한 연구가 꾸준해서 확장성이 좋다- 랜더링 툴, 철근 전문 툴, 적산 툴들과의 연계 가능성을 열어놓고 프로그램 개발

 

아키캐드 단점

1. 원카피 라이선스가 1000만 원 정도로 비싸다

2. 객체 이동시 스냅이 바로 바로 안 잡혀서 래빗에 비해 다소 답답

3. 외국에서의 사용비율보다 한국에서 사용하는 회사가 래빗에 비해 적다

 

  •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
  •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
  • 페이스북 공유하기
  •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